HTTP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HTTP 메소드에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, 그것이 GET 방식과 POST 방식 GET URL에 파라미터를 포함시켜 요청하는 방식이다. 예를들어 https://recordboy.github.io/login?id=user&pw=1234 라는 페이지가 있다고 치자, ? 마크를 통해 URL의 끝을 알리고, id라는 키(key)에 대해선 user라는 값(value)를, pw라는 키(key)에 대해서는 1234라는 값(value)을 전송한 것을 볼 수 있다. 여러개의 키와 값을 보낼 때는 &를 사용하여 이어준다. 이처럼 데이터가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며, 개인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상황에서 캐싱을 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높일 때 ..